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가와 금리가 갈수록 오르고 있어, 일각에서는 단계적 물가 상승 즉 ‘스테그플레이션’이 지금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1970년대 불황에 직면한 사람들에게 이 공포는 더욱 크다고 생각합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우리가 그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합시다.
스테그플레이션의 의미
스테그플레이션은 두 단어의 조합입니다.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테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것입니다. 즉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라는 두 가지 악수가 합쳐져 대불황으로 이어진 것을 말합니다.
경기가 침체되면서 시장에 자금을 방출하고 금리를 낮추게 됩니다. 하지만 시장에 돈이 풀리기 시작하면 기업과 투자가 늘고 고융률도 올라갑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제 회복이 일어납니다.
이것이 역효과가 나면 출시된 돈이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어, 경제 성장률도 더뎌지기에 저조한 성과를 보여줍니다. 당연히 회사에 실적이 좋지 않다 보니,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가 줄어들고 시장이 위축되어 기업이 자연스레 피해를 보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경기 불황, 경기침체, 스테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스테그네이션
역사적으로 최초로 알려진 스테그플레이션은 1974년의 일입니다. 당시 중동전쟁의 영향으로 유가가 10월부터 4개월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당시 석유수출기구OPEC가 원유 공급을 제한한 것은 아랍과 이스라엘 사이의 욤키푸르 전쟁에서 미국, 영국, 캐나다 등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에서 유가가 급등하여 스테그네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유가는 1년만에 300%나 급등했고, 그 결과 다른 상품의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기업들은 근로자를 해고했습니다. 이 기간에도 실업률이 높아졌습니다.
1990년대 초 한국에는 한차례의 스테그플레이션이 찾아왔습니다. 당시 유가와 금리가 낮고 평가액이 낮은 원화 가치를 뜻하는 3저 호황이 거의 끝나 경기 호황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는 더 컸습니다. 그 과정에서 부동산 투기와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이어졌습니다.
22년 6월 한국은행은 우리나라가 스테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가능성이 낮다고 했지만, 금리 인상과 실업률상승은 사회적 저항력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MZ세대와 소상공인에게 피해를 전달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통상 물가가 오르면 다시 시장에 풀린 돈을 회수하거나 은행 금리를 올려 물가가 더이상 오르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기업에서 투자를 줄이고, 사람들은 소비 이상의 저축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스테그플레이션이 아직 진행 중이지 않다고 말하지만, 미국 경제시장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조만간 발생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 다시 찾아올까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은 고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노동력과 생산성이 경제를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용 증가에 따른 실업률 저하는 테이퍼링(tapering/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점차 줄이는 전략) 또는 금리 인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수조달러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포함한 안보 정책 계획을 계속하고 있어 금리 인상이 큰 단계를 넘어설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의 의미를 정리했습니다. 앞으로 경제시장 절반이 어떻게 변화할지, 미국의 경제동향이 대한민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스테그 플레이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당신의 생각이 궁금해집니다.
'… 지 식 정 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 Chat 소개 및 프롬프트 사용법, 가입하는 방법 어떻게 해야할까요? (0) | 2023.05.23 |
---|---|
장염 증상 및 원인 : 장염 치료 방법은? (0) | 2023.05.16 |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및 원인, 치료 (0) | 2023.05.09 |
콤부차 효능 8가지 및 섭취하는 방법, 다이어트? (1) | 2023.05.08 |
뒷골이 땡기는 이유 , 후두 신경통 증상인가요? (0) | 2023.05.07 |